단말기 자급제
-
[알뜰폰] 같은 요금제에 통신비는 절반? 알뜰폰 알아보기! 알뜰폰이란? 알뜰폰 추천, 알뜰폰 장단점IT/스마트폰 구매 요령 2018. 11. 29. 04:34
알뜰폰이란? 알뜰폰이란 기존의 모바일 네트워크 공급자(SKT, KT, U+) 외에 또다른 가상의 모바일 네트워크 공급자를 말합니다. 왜 가상의 네트워크 공급자라 하면, 독자적인 통신망을 가지고 있지 않고, 기존 네트워크 공급자들의 망을 도매 가격으로 임대해 네트워크를 공급해 주기 때문입니다. 쉽게 말해서 통신3사의 데이터, 음성, 문자메세지를 싼 가격에 대량 구매해, 그걸 다시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사업을 알뜰폰 사업이라 합니다. 따라서 네트워크 품질은 기존 통신3사와 같으면서도 가격은 절반 이상으로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. 알뜰폰 사업이 활성화된 배경 기존에도 알뜰폰 사업자들이 있었으나 독자적인 영향력은 미미하였으나, 2012년 단말기 자급제가 부분적으로 도입되고, 2014년에는 단통법이 통..
-
[단말기 자급제] 왜 스마트폰은 통신사에서 사야하지? 이젠 내가 직접 구매한다! 단말기 자급제란? 자급제 장단점, 통신사폰과 비교IT/스마트폰 구매 요령 2018. 11. 28. 23:08
(이미치 출처: 나무위키) 단말기 자급제란? 단말기 자급제란, 2012년 5월 1일부터 실시한 제도로 통신사에 상관 없이 일반 가전제품을 사듯 단말기만 제조사에서직접 구매할수 있는 제도입니다. 이 전에 단말기를 구매하려면 이동통신사 대리점 또는 판매점에 직접 가서 요금제를 선택한 후 그에 따른 지원금을 받고 약정을 건 다음 구매하는 방법밖에 없었습니다. 이러한 기존 제도는 소비자에게는 물론 단말기 제조사들도 '을'인 입장이었고, 이동통신사들이 '갑'인 입장이었습니다. 때문에 일명 '추노마크'가 산단바에 항상 표시되어있으며, 단말기에는 커다란 이동통신사 마크가 달려있었으며, 기본적으로 통신사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있으며 이 어플리케이션은 지울수도 없었죠. 이러한 갑과 을 관계를 뒤바꿔 놓은 제도가 바로 단..